[SOH] 최근 홍콩에서 발생한 대규모 시위가 당초 취지인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에서 중국의 내정 간섭을 반대하는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1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과 지난 10일 홍콩에서 송환법 개정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진 데 대해, 홍콩인들의 요구는 송환법에 대한 반대만이 아니라 홍콩에 대한 중국의 내정 간섭을 반대하는 것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홍콩에서는 지난 10일 홍콩 의회인 입법위원회가 범죄 용의자를 중국에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범죄인 인도 법안을 추진하는 것을 반대하는 대규모가 시위가 열렸다. 당시 참가 인원은 약 100만명으로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진행된 시위 중 최대 규모로 추산됐다.
송환법 2차 심의가 예정된 12일에도 홍콩 도심에서 대규모 시위대가 진행돼 시민들의 거센 항의에 놀란 홍콩 입법위는 법안 처리를 일시 연기했다.
홍콩 정부가 추진하는 범죄인 인도 법안은 중국을 포함해 대만,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사안별로 범죄인들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날 도심 곳곳을 비롯해 입법회 청사 주변에서는 아침 일찍부터 하루 종일 해당 법안 철회를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고, 해산을 요구하는 경찰과 시위대간의 충돌도 발생해 이날 밤 10시 기준 7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들 중 2명은 위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대들은 중국이 1997년 홍콩 반환 때 약속했던 ‘일국양제’를 지키고 있지 않다며, 홍콩의 폭넓은 자치를 보장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WSJ은 이에 대해 입법회의가 중국 송환법을 폐기하더라도 시민들이 보다 더 폭넓은 자치를 요구하며 시위가 장기적인 양상을 보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