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이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에 대해 포문을 연 가운데, 구글을 비롯한 인텔, 퀄컴 등 대형 IT기업들이 잇따라 화웨이와의 비즈니스 중단하고 나서 해외 사업이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화웨이 제재를 공식화한 데 대해 구글이 안드로이드 서비스 차단을 선언한 데 이어 인텔, 퀄컴, 자이링스, 브로드컴 등 주요 칩 제조업체들이 화웨이와의 거래 중단에 잇따라 나섰다.
미 IT 기업들의 이 같은 행보는 지난 16일 미 상무부가 화웨이와 68개 계열사를 거래제한 기업 목록에 올린 데 따른 것이다. 이들 기업은 정부의 추가 통보가 있을 때까지 화웨이에 제품 공급을 중단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화웨이와 해당 계열사들은 미국 기업과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미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만 한다.
블룸버그는 “미국 굴지의 기업들이 화웨이에 대한 중요한 소프트웨어와 부품의 공급을 동결하면서, 중국 최대 기술 회사를 질식시키려고 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탄압을 따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구글은 화웨이에 대해 안드로이드나 구글 서비스 관련 기술적 지원 또는 협력을 중단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구글의 이번 조치로 화웨이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계(OS)에 대한 접근을 즉각 잃게 될 것”이라며 “화웨이가 중국 밖에서 앞으로 출시할 스마트폰도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G메일 등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접근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화웨이는 구글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관련 지원을 막아도 누구에게나 무료로 열린 '오픈소스'를 통해 계속 이용할 수 있지만, 보안·편의성 향상 등을 위한 구글의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나 G메일 같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도 이용할 수 없다.
같은 날 인텔과 퀄컴, 브로드컴, 자일링스 등은 화웨이 측에 제품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직원들에게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인텔은 화웨이 서버칩 주공급업체다. 퀄컴 역시 화웨이 스마트폰에 프로세서와 모뎀을 공급해 왔다. 자이링스와 브로드컴은 통신장비용 칩을 화웨이에 판매해 왔다.
통신은 화웨이가 미국의 기술기업 수십 곳에 핵심 부품 조달을 의존하고 있어, 미국 정부의 이번 거래 제한 조치로 해외 시장 사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화웨이는 세계 최대 통신장비 공급자이자 스마트폰 판매 2위 기업이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