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한국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자국 책임론을 계속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국회가 최근 중국발 미세먼지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방중을 추진했지만 중국 측의 거절로 무산됐다.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에 따르면 여야 환노위 소속 의원 8명이 중국 생태환경부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를 방문하겠다고 지난 2일 제안했으나 중국 당국은 사흘 후인 5일 국회로 공문을 보내 “한국 의회 방중단의 방문을 거부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외교부로 보내 공식 거부했다.
환노위 관계자는 “4월 초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미세먼지 이슈 보고서’에서 환경부가 한국의 미세먼지가 중국에서 온 것이란 것을 속단할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이것에 대해 명확히 논의코자 환노위 차원에서 방중을 추진했지만, 중국은 ”얼마 전 이낙연 총리도 중국을 방문했는데 굳이 국회에서 또 미세먼지 문제로 올 필요가 있느냐”며 외교적 결례를 보였다.
중국은 또 최근 원내대표단의 방중을 비롯해 오는 5월로 예정된 문희상 국회의장 방중 일정에서도 미세먼지 관련 일정은 철저히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한국에서 장기간 제기돼온 자국발 대기오염 피해 문제와 관련해 줄곧 책임론을 부인하고 있다.
지난달 25일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일부 한국 전문가들은 한국의 대기질이 나쁜 것은 가정용 보일러와 관련 있다고 분석했고, 현재 한국에서는 360만 가구가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모그 발생에 대해 중국 탓만 할 수는 없다는 보도도 있는데 이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해당 대기전문가의 태도는 이성적이고 객관적인 것”이라고 답했다.
겅 대변인은 이어 “중국 대기오염이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중국 환경부와 관련 전문가들이 이미 매우 전문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했다”고 밝혔다.
같은 달 7일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대기오염 중국 책임론에 대해 “한국 관리들이 과학적 근거를 갖고 있는지, 전문적인 뒷받침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중국의 입장을 대변한 바 있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