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1(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매일 '1만 5천 톤의 전자 쓰레기'가 흘러드는 마을

편집부  |  2015-07-24
인쇄하기-새창

[SOH] 중국 광둥(廣東)성 산터우(汕頭)시 구이진(貴嶼)이 매일 국내외에서 흘러드는 1만5천 톤의 전자 폐기 물질로 심각한 환경오염에 시달리고 있다고 최근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이 소개한 <세계 최대의 전자 제품 쓰레기장> 이라는 기사에 따르면 15만 인구가 사는 구이진(52 평방킬로미터)에는 약 5천개의 전자 폐기물 회수 및 해체·재활용 처리업체가 있으며, 주민 대부분이 이 일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통신은 이들이 "유해 물질을 포함한 중고 전자 기기 폐기물 '전자 쓰레기'를 취급하며, 시설 내 배기나 환기가 잘 안 되는 등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지만 마스크나 기타 보호 장비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오염 물질과 중금속이 대량으로 하천에 흘러들고 있으며, 주민들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사용에 치명적인 피해를 받고 있다"면서, "산터우 대학의 조사 자료를 인용해 이 지역 어린이를 포함한 주민들의 혈중 납 농도가 평균치보다 비정상적으로 높다"고 밝혔습니다.


구이진에서는 매일 대량의 트랙이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마더 보드, 휴대 전화 등을 들여오고 이 폐기물을 처분하는데 수 만 명의 사람들이 동원됩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외국에서 들어오는 폐기물이 많았지만, 최근 들어 중국 경제가 성장하면서 국내 쓰레기가 많아졌습니다.


유엔 대학이 지난 4월에 발표한 전자 폐기물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2014년 전 세계에서 발행하는 전자 폐기물은 4180만 톤에 달하며, 매년 200만 톤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707만 톤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중국과 일본이 각각 603만 톤과 220만 톤입니다.


조사는 또 2013년 자료를 인용해 "각국에서 매년 나오는 2000만~5000만 톤의 전자 쓰레기 중 70%가 중국에 버려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통신은 "구이진 주민들이 이 전자 폐기물을 통해 구리, 철, 알루미늄, 금 등의 유가 금속을 회수해 320억위안(약 6조 1800억원)의 경제 이익을 얻고 있지만, 이미 오염된 환경과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각종 암과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계속 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189 통상적 불문율도 통하지 않는 '大虎' 사냥
편집부
15-07-27
2188 매일 '1만 5천 톤의 전자 쓰레기'가 흘러드는 마을
편집부
15-07-24
2187 링지화 전 통일전선공작부장 '쌍개 처분'
편집부
15-07-21
2186 [논평]中國 새 '국가안보법'이 의미하는 것
편집부
15-07-20
2185 [논평]주가법칙과 관계없는 中 증시의 특성
편집부
15-07-18
2184 中 개혁성향 잡지 전 편집장, 당국의 언론 간섭 비난
편집부
15-07-17
2183 中 호텔 객실에서 테러 관련 동영상 본 외국인 관광객 ....
편집부
15-07-15
2182 中 대규모 부양책, 증시 패닉 초래
편집부
15-07-12
2181 中國에서 '江 전 주석' 고소 열풍 고조
편집부
15-07-10
2180 비운의 지도자 후야오방 전 총서기 다룬 영화 제작
편집부
15-07-0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844,76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