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난 10년간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저임금 근로자 보유국으로 글로벌 경제를 독식해왔지만, 최근 현지 생산라인을 근로자 대신 로봇으로 바꾸고 있어, 또다른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해 중국 내 공장에 설치된 로봇은 전 세계 산업용 로봇의 4분의 1에 달했고,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국제로봇연맹(IFR)은 중국이 2017년까지 세계 최대 로봇 생산 라인 국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광둥에 위치한 중국의 대표 가전업체인 ‘마이디어’는 올해 안에 가정용 에어컨 생산 라인의 근로자 6000명을 로봇으로 대체할 예정이며, 애플의 하청업체인 폭스콘도 3년 안에 전체 공정의 70%를 로봇화 할 방침으로 이미 청두에 100% 로봇공정으로 이뤄지는 자동화 공장을 설립했다.
이 같은 추세에 대해 경제학자와 전문가들은 중국 근로자들이 미국 등 다른 선진국보다 훨씬 빨리 사라져, 수출 주도에서 내수 위주로 경제를 전환하려는 중국 정부의 목표가 큰 난관에 봉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수년 간 중국 경제에서 해외 투자는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지만 내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3분의 1에 불과했는데, 이 같은 내수 구조로는 지속 가능한 경제 구조를 이루기 어렵다.
공장에서 만든 제품은 시장에서 팔려 이윤을 창출해야 하므로 중국 기업들이 수익을 내려면 중국 국민들이 지금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해야 하고, 서비스 부문에서도 현재 수준보다 훨씬 많은 소비가 일어나야 한다.
수년 전부터 소비를 늘리기 위해 애써 온 중국은 최근에는 임금 인상을 단행했지만 경제 덩치에 비해 너무 낮은 수준의 중국 가계 소득 때문에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또 중국 가계에서 소득의 40%에 달하는 높은 저축율도 소비가 늘지 않는 또 다른 큰 이유다. 중국이 자본주의로 전환하면서 대부분의 사회안전망이 소실됐고, 은퇴 후 질병이나 자녀 부양 같은 부담이 커질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국민의 가계 소득을 올려 저축률을 낮춰야 하지만, 오히려 로봇 개발을 가속화해 경제회복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 때는 한 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 제조업을 기반으로 중산층을 구축한 뒤 서비스 경제로 전환하는 것이 통상적 관례였는데, 미국이 먼저 이 길을 걸었고, 일본과 한국이 뒤를 따랐다.
당시에는 자동화 기술이 지금보다 훨씬 뒤처져 있었기 때문에 이들 나라는 비교적 손쉽게 선진국으로 도약할 기회를 잡았지만, 중국은 로봇 시대에 이런 과업을 이뤄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중국의 로봇화는 중국 생산업의 고용 능력을 무섭게 잠식해 이미 1995~2002년에 중국 전체 생산직의 15%에 달하는 일자리 1600만 개가 사라졌는데, 이런 추세는 갈수록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갈수록 악화되는 중국의 취업난은 대졸 취업률에서도 마찬가지다.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대졸 구직자의 취업률은 절반에 불과하며, 그나마도 취업한 근로자의 43%는 자신이 받은 교육 수준보다 낮은 일을 하는 것을 불만스러워 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위해 어떤 해결책이 필요할까? 바로 중국 정부가 미국처럼 근로소득 세액을 공제하는 등의 직접적인 소득 보완책을 시급히 도입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속화되는 로봇 혁명으로 실직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는 어떤 방안도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는 못할 것이다.
공산당 일당 독재인 중국은 국민의 정치적 불만을 경이적인 경제성장으로 무마해 왔지만 로봇 생산공정이 계속 확대되고 또 로봇 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저성장 사태를 막을 묘수를 찾지 못한다면 지도부가 감당하기 벅찬 '국가기반 와해'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지도 모른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