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3농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한 올해 중공 1호 문건에서 ‘가정농장’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했습니다.
1호 문건은 중국 농업 생산효율 높이기 위해 토지도급제가 ‘대규모 농업, 가정농장, 농민협동조합으로 순환되는 것을 고무하고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공 관영언론은 ‘전통적인 농업생산 체제는 중국의 농업생산 효율을 높이는데 불리하다. 규모있는 경영이 더 적합하다. 가정농장은 가정 구성원을 주요 노동력으로 하여 농업규모화, 집약화, 상품화에 주력하고, 농사 수입을 가정의 주요 수입원으로 하는 새로운 농업경영체제’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문제전문가 우판(凡说)은 최근 30년간 중국 농촌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기 때문에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하는 이 같은 가정농장 생산모델은 대량생산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농민에게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토지가 자기 것이라면 비로소 그 토지에 공력을 쏟고 투자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모델에서 토지는 자신의 것이 아닌 국가의 것이고 농민은 임대를 한다. 그러면 농사에 심혈을 기울이겠는가? 중국은 지금까지 토지개혁을 할 계획이 없다. 때문에 가정농장은 중국의 농업생산의 근본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경제학과의 셰톈(谢田) 교수 역시 가정농장이 농업생산 효율을 높이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만일 가정 구성원을 위주로 한다면, 농업이 집약화되어 발전될 수 없다. 현대 농업이라면 공업화, 기업화가 필요하다. 대규모 농사에서 기계화를 하려면 몇천, 몇만 무(亩)의 토지가 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사실 농민을 우롱하는 것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농업부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가정농장이 모두 6,670여개 입니다. 쉬샤오칭(徐小青) 국무원발전연구센터 농촌부장은 가정농장 모델이 농민의 수입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또 1호 문건은 농민의 생활수준을 높이기 위해 5년 안에 토지 도급경영권을 확정 등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우판은 “정작 토지소유권 변경에 대한 언급이 없다. 전국에 6천여 가정농장이 있다. 이는 결국 노동조합 형태로 바뀔 것이다. 그러면 토지 소유권은 어떻게 되는가? 내 토지를 당신에게 사용하게 한다면 나는 얼마나 되는 이익과 수확을 얻을 수 있는가? 이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셰톈 교수는 토지 소유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중공이 어떤 모델을 제시하더라도 모두 농민의 이익을 착취하는 것이라면서, “이것으로 중공 권력층이 농촌 토지를 대대적으로 수매하여 새로운 지주가 될 수 있다. 농민은 방금 약간의 토지사용권을 얻었는데, 조금만 방심해도 토지사용권을 중공집단에 팔아버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게 된다면 도시에 가서 품팔이를 해도 존중을 받지 못하고, 농촌에서 농사를 지어도 권력층에 장악될 것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