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난해 말,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데 대한 제재 결의안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지난 22일, 만장일치로 채택됐습니다. 중국은 이번 투표에서 이례적으로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미국의 소리방송(VOA)은 장궈청(張国成) 전 대만 국방차장(국방차관에 해당)의 견해임을 전제로, 중국의 태도전환 배경에는 댜오위다오 문제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즉, 북한 문제에서는 미국과의 대립을 피하고 양보함으로써 미국에 좋은 인상을 주고, 그에 따라 댜오위다오 문제를 둘러싸고 일본쪽에 기울었던 미국의 입장을 ‘중립적인 입장’에 서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짚었습니다.
한편 이번 결의안은 시진핑 중공 총서기 취임 후 첫 대북조치로 그에 대한 대응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미 브루킹스 연구소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 오공단 박사는 중국이 이번에 던진 찬성표가 시 총서기의 ‘외교관과 전략관’을 상징하는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중국은 이성적이고 책임있는 대국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시 총서기는 지난 23일 박근혜 한국 차기 대통령 특사단의 예방을 받았을 때, 북한의 핵과 대량 파괴 무기 개발에 반대할 생각을 명확하게 나타냈습니다. 오 박사는 시 총서기의 이 같은 의사 표시가 평양의 김정은 체제에 중국이 언제까지나 무조건 북한을 비호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아시아로 회귀하는 미국과의 관계와 국제사회로부터의 압력, 한층 더 비등해진 중국 내 여론 등을 근거로 북한을 계속 두둔하는 것은 국익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이른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