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SOH] 주단계(朱丹溪)는 이고, 유완소(劉完素)와 함께 12세기경 동시대에 살았던 의사들로 장종정(張從正)과 더불어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로 꼽히는 중국 의학사에서 뛰어나 업적을 남긴 인물입니다. 이들..
[SOH] 부청주(傅靑主)의 아내가 죽고, 다섯 살 된 아들 수모는 모친인 정모군이 정성스럽게 길렀습니다. 강희(康熙) 23 년 서기 1684 년 2 월 초 부청주의 아들 수모는 57 세를 일기로 세상을 마쳤습니다. ..
[SOH] 명조에 멸망의 기운이 감돌던 1607년, 산서성 양곡현에서 태어난 부청주(傅靑主)는 시대를 대표하는 의사일 뿐만 아니라 명나라를 대표하는 자존심이었습니다. 서극 감독의 무협영화 칠검에도 등장하..
[SOH] 한의학계에서 가치 있는 저작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는 이시진(李時珍)의 대표작 ‘본초강목(本草綱目)’이 탄생하기까지는 어려움이 많았는데 그 중 몇 가지 예를 들겠습니다. 어느 날 이시진의 집에서 ..
[SOH] 전회에 소개했던 약왕 손사막의 업적을 포함해 선대에 이뤄진 약재에 관한 연구는 명나라 대의학자 이시진(李時珍)이 집대성했습니다. 이시진의 자는 동벽이고 호는 빈호로서 호북 사람이며 1518년에 ..
[SOH] 손사막의 업적과 인품을 고려할 때 한의학 서적에서 그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습니다. 하지만 신선의 일대기나 도가 관련 서적에서도 심심찮게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있..
[SOH] 손사막(孫思邈)은 옹주(雍州) 화원(華原)에서 태어난 대의학자로 중국 수·당(隋·唐) 시기를 대표하는 명의입니다. 7세에 학문을 시작해 유년시절 경전과 철학 노장백가(老莊百家)의 설(說)을 독파하..
[SOH] 편작(編鵲)은 역대 명의가 그러했듯이 전문분야를 두지 않고, 아픈 사람이 있으면 어떤 질환이든 치료했습니다. 한단 지역에서는 부인 질환에 대한 효험 있는 치료로 유능한 부인과 의사라는 뜻의 ‘대..
[SOH] 고대 명의의 행적을 따라가 보면 그들은 우리의 관념을 초월한 초자연적인 능력의 소유자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조조의 뇌 속 종양을 볼 수 있었던 화타의 투시능력입니다. 오늘..
[SOH] 화타(華陀)는 약, 침, 뜸, 심리치료에도 능했지만, 당대 의관과 뚜렷이 구별된 점은 뛰어난 외과의였다는 점입니다. 화타는 치료 시 혈 자리를 2개 정도만 사용했다고 전해지며, 침과 약으로도 치료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