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SOH] 중국에서는 매년 스승의 날인 9월 10일이 되면 선생님들이 가장 많이 듣는 축하 인사말은 '도리가 문에 가득하다', '도리가 천하에 가득하다, '도리가 천하에 두루 퍼져있다' 등으로, 이는 많은 제..
[SOH] 부드럽고 우아한 버드나무의 자태는 옛날부터 문인들이 즐겨 쓰는 소재였습니다. 당나라 시인 하지장(賀知章)은 `버드나무를 노래하다'라는 영류(詠柳)라는 시에서 다음과 같이 읊었습니다. `碧玉&..
[SOH] 부마(駙馬)는 옛날 황제나 임금의 사위, 즉, 공주의 남편을 이르는 말입니다. 그런데 왜 황제의 사위를 하필 말과 관련이 있는 부마라고 했을까요? 여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만, 민간에서 전해..
[SOH] 한국에서 편지를 쓸 때 가장 널리 쓰이는 존칭은 귀하(貴下)입니다만 중국에서는 족하(足下)라고 합니다. 직역하면 ‘발아래’라는 뜻인데, 이 단어가 어떻게 존칭으로 변했을까요? 중국에서 이 단..
[SOH] 사찰에서는 왜 종을 백팔 번을 칠까요? 여러분 궁금하시죠? 오늘은 그 내원에 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종은 장중하면서도 맑은 소리가 나는 까닭에 예부터 사찰의 중요 법기(法器) 중..
[SOH] 명승지를 관광하다보면 스님들이나 일반 불교 신도들 사이에 합장으로 예를 갖추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가슴 앞에서 손바닥을 합쳐 좌우 열손가락을 펴서 포개는 것은 힌디어로 “그대에게 보..
[SOH] 중국의 의학체계는 한국과 유사하게 서양의학을 전공한 서의(西醫)와 전통의학을 전공한 중의(中醫)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서의와 중의를 막론하고 의학계를 지칭할 때면 흔히 ‘행림(杏林)’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