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SOH] 아욱은 아욱과의 두해살이풀로 높이가 50~70cm까지 자라며 잎은 다섯 갈래로 갈라져 있습니다. 연한 줄기와 잎은 국을 끓여 먹으며 씨는 동규자라 하여 한방에서 이뇨제로 쓰입니다. 우리 속담에..
글/ 씬위(心語) [SOH] 베이징을 찾는 사람들이 꼭 들러보는 관광지 중에는 베이징 북쪽 약 40km 지점의 창평구 천수산 아래 위치해 있으며 2003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명십삼릉(明十三陵)이 있습니..
글/ 씬위(心語) [SOH] 중국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남자에게 과일을 선물하는 오랜 풍습이 있습니다. 중국 역사 중 위진(魏晉)시대에 이름이 널리 알려진 빼어나게 잘생긴 남자들이 많았는데 특히 서진(西..
[SOH] 이는 한자어로 "天知地知子知我知, 천지지지자지아지"라 하여 세상에 비밀은 없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또한 모야무지(暮夜無知),·모야포저(暮夜苞苴) 라고도 하며 어두운 밤중..
[SOH] 우리는 흔히 인생의 좌우명(座右銘)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 말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자리 오른쪽에 놓인 명심할 내용이란 뜻이며 국어사전에는 '늘 자리 옆에 갖춰 두고 가르침으로 삼..
[SOH] 삼복은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대체로 양력 7월에서 8월에 해당하며 1년 중 기온과 습도가 가장 높아 무덥습니다. 삼복을 정하는 기준은 매년 하지(夏至) 이후 세 번째 경일(庚日)을 ..
[SOH] 부부가 되는 것을 왜 머리를 묶었다고 할까요? 이 말은 한나라의 충신 소무(蘇武)가 지었다는 이릉녹별시(李陵錄別詩) 21수 중 제5수에 '머리를 묶어 부부가 되니 은혜와 사랑 서로 의심치 않았네..
글/ 가옥(家玉) [SOH] 우리는 흔히 역사적으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청사(靑史)에 이름을 남겼다’고 합니다. 여기서 청사란 역사서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왜 사서(史書)라 하..
[SOH] 중국 고대에는 사직(社稷)으로 국가를 대신 지칭한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예기(禮記) 단궁하(檀弓下)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나옵니다. 왕기(汪踦)라는 동자가 전투에 나가 싸우다 죽자 노(魯..
[SOH] 난해하여 설명하기 곤란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 우리는 곧잘 '이 내막을 이야기하려면 삼일밤낮은 걸릴 거야' 라는 식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면 왜 하필 삼일밤낮이라고 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