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SOH] 책이 많아 학식이 풍부한 것을 일컫는 말로 서통이유(書通二酉)라는 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청나라 때 도회정(陶懷貞)이 엮은 ‘천우화(天雨花)’에 보면 ‘어려서부터 지금까지 책을 읽으며 다섯 수..
[SOH] 우리말에 참한 처녀를 ‘양가댁 규수(閨秀) 같다’라고 하는 표현이 있습니다. 여기서 규수란 학문과 재주가 뛰어난 여자를 가리키고 규(閨)는 여자들이 거처하는 규방을 뜻합니다. 중국어에서는 ..
[SOH] 정지용 시인의 ‘향수’ 라는 시에 보면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줍던 곳..
[SOH] 봉니(封泥)는 니봉이라고도 하며 옛날 중국에서 문서 따위를 끈으로 묶어 봉할 때 쓰던 아교질의 진흙덩어리입니다. 봉니 위에는 고대인들이 사용한 인장의 유적이 있어 당시의 관제와 행정설치에 대..
[SOH] 시작이나 발단을 표현하는 고대 문헌에도 나오는 남상(濫觴)이란 단어가 있습니다. 당나라 때의 유명한 사학자 유지기(劉知幾)는 사통서례(史通序例)에서 '남상이 시작된 흔적을 어쩌면 볼 수 있을지..
[SOH] 기러기는 철새로 매년 오고 가는 시간이 비교적 일정합니다. 이 때문에 고대에는 기러기를 가리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갖춘 새라고 칭송했습니다. 또한 기러기를 이용해 서신을 전달하고 정보..
[SOH] 중국 신화에서 팔선이 도(道)를 얻어 신선이 되었다는 이야기는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들은 각기 남녀노소, 부귀빈천(富貴貧賤)을 대표하는 속세의 사람이 수련해 정과(正果)를 이룬 것을 ..
[SOH] 중국 속담 중에 '주관(州官)의 방화는 허용하지만 백성들이 등불을 켜는 것은 용납 되지 않는다. (只許州官放火, 不許百姓點燈)'는 말이 있습니다. 납득하기 어려운 이 속담에는 정부 관리들이 행정적..
[SOH] 중추(中秋)는 음력 8월 보름을 가리킵니다. 사계절을 음력으로 보면 7, 8, 9월이 가을에 해당하는데 7월은 맹추(孟秋), 8월은 중추(中秋), 9월은 계추(季秋)라고 합니다. 따라서 중추절(仲秋節)이..
글/씬위(心語) [SOH] 전쟁이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에는 신속한 정보전달이 특히 중요합니다. 지금은 통신도구가 발달해 컴퓨터, 핸드폰, 속달우편, 팩스 등으로 신속히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