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SOH] 사극에 보면 종종 문무백관이 천자를 알현할 때 각자 금란전(金鑾殿) 양측에 서서 손에 홀(笏)이라 불리는 가늘고 긴 나무판을 든 것을 보게 됩니다. 그렇다면 고대에 대신들이 천자를 알현할 ..
[SOH] 당나라 때의 방랑시인 이백은 시 ‘고풍(古風) 24’에서 ‘세상에 귀를 씻는 노인이 없다면 누가 요와 척을 알랴(世無洗耳翁 誰知堯與蹠)’라고 노래했습니다. 이 시에서 묘사한 것은 당(唐)현종 후기 ..
[SOH] 생일 축하하기(過 生日)는 중국의 오랜 풍습입니다. 그러나 위진 시기 이전에는 다만 예기 내칙(禮記 內則)에 '자식을 낳았는데 남자이면 문 왼쪽에 활을 걸고 여자이면 문 오른쪽에 수건을 걸었다(..
[SOH] 중국 고대의 황제는 구슬을 드리운 면류관을 쓰고 있어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구슬은 맑은소리를 냅니다. 그러면 왜 황제들은 면류관 앞뒤로 구슬을 드리웠을까요? ‘속한서(續漢書) 여복지(輿服志)’..
[SOH] 공주(公主)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정실 왕비가 낳은 임금의 딸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공주라는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한 것일까요?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의 기록에 따르면 '천..
[SOH] 사극을 보면 관아에서 ‘곤장 50대를 쳐라’라는 판결이 떨어지면 죄수들은 볼기를 맞습니다. 그러면 왜 팔, 다리, 가슴, 등, 등을 때리지 않았을까요? 신당서 형법지를 보면 ‘당태종이 명당침구도(..
[SOH] 중국 고대에 남녀가 혼인할 때면 신랑 측에서는 반드시 꽃가마로 신부를 맞이했습니다. 중국 전통 혼인풍속 중에는 납채, 문명, 납길, 납징, 청기, 친영 등 6가지 의례가 있지만 이 중에서 가장 성대..
[SOH] 중토정회(中土情懷)라는 곡이 있습니다. 중토란 중국을 가리킵니다. 세계적인 중국예술 공연단체인 뉴욕 ‘션윈(神韻)예술단’의 알토 양젠성(楊建生)은 2004년 갈라 공연에서 여자의 목소리라고는 믿..
[SOH] 중국 전통 명절에는 축하주를 마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 전날인 섣달그믐에는 신년축하주를, 단오절에는 사기를 피하고 역병을 방지하는 창포주를, 9월 9일 중양절(重陽節)에는 국화주를 마시는 등..
[SOH] 춘추전국시대에 진(秦)나라의 동쪽에 있었던 정나라는 스스로를 동쪽으로 가는 길을 안내한다는 뜻의 동도주(東道主)라고 칭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이 단어가 주인을 호칭하게 됐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