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 2021년 5월 17일, 에콰도르 환경부는 ‘다윈의 아치’가 붕괴됐다고 밝혔다. 붕괴 전(좌)과 붕괴 후(우) 모습. [사진=週報明慧][SOH] 지난해 5월 17일 에콰도르 환경부는 공식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갈라파고..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동방에서 편지를 주고받으며 소통하는 방식은 2500년 전인 춘추전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나라 때 작품으로 알려진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에는 “멀리서 손님이 찾아와..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청나라 황자의 교육제도는 강희제 때 정해졌다. 황자와 황손은 6세 때부터 서재에서 공부했다. 황자들은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오후 6~7시까지 공부했다. 1년 중 휴가는 새..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일회용 종이컵으로 뜨거운 음료를 마실 경우 체내에 많은 양의 나노 플라스틱이 침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나노워크’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중국 사람들은 자신의 봉급을 흔히 ‘신수(薪水)’라 칭한다. 여기서 ‘신(薪)’은 땔나무를 의미하고 ‘수(水)’는 말 그대로 물을 가리킨다. 바꿔 말하면 땔나무와 물을 가리켜 봉..
▲ 청나라 제4대 황제 강희제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정훈격언(庭訓格言)’은 강희제가 태자들에게 전해 준 가르침을 수록한 책으로, 그의 아들 옹정제가 기억을 더듬어 정리했다. 아래는 정훈격언에 실..
▲ 조선을 대표하는 거상 임상옥. 장사에서 이문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과 신용이라고 믿었다. [사진=週報明慧][SOH] 언제부터인가 돈이 인생의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된 듯하다. 사람들은 부동산과 주식 투자 노..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젓가락은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를 상징하는 물건이다. 우리말 ‘젓가락’은 ‘저(箸)’와 ‘가락’(가늘고 긴 모양을 이르는 말)을 합한 것이다. 숟가락도 유사한 조..
[SOH] 바둑(圍棋·웨이치)은 중국의 4대 전통예술로 불리는 ‘금(琴·거문고), 기(棋·바둑), 서(書·서법), 화(畵·그림)’ 중 하나이다. 천변만화(千變萬化)하는 특성과 고유의 오락성을 지닌 까닭에 아주 오래 전..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엽전은 동그란 테두리에 네모난 구멍이 나 있다. 구멍에 줄을 꿰어 가지고 다니기 편하기 위함일 수도 있지만, 사실 그 속에는 화폐와 재물을 바라보는 선조들의 지혜가 숨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