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 밤낮

희망지성  |   2013-09-29 17:29:19

삼일 밤낮

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순우곤이라는 학자는
견문이 넓고 기억력이 좋았으며
또한 상대의 언행을 보고 속마음을 읽어낼 줄 알았습니다.
어느 빈객에게 이 이야기를 들은 양나라의 혜왕은
호기심이 생겨 두 차례나 순우곤을 접견하였으나
그는 시종 아무 말도 없었습니다.

 

혜왕은 기분이 상하여 그를 소개해 준 빈객을 불러
심하게 힐난했습니다.


빈객이 순우곤을 찾아가 이유를 물어보니
순우곤은 "내가 처음 대왕을 알현했을 때
그 분의 마음은 온통 말에 쏠려 있었고
두 번째 알현했을 때는 그 분의 관심이 여가수에게
쏠려 있었습니다. 그 때문에 소인은 침묵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라고 설명해 주었습니다.

 

빈객(賓客)이 다시 혜왕(惠王)을 찾아가 이 말을 전하자
왕은 그때야 깨달은 듯 크게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습니다.
“그야말로 순우선생은 성인이오. 이제야 모든 것이 확실해졌소.
그가 처음 찾아왔을 때 마침 어떤 사람이 과인에게 말 한 필을
가져와서 그 말을 살피느라 순우선생에게 마음을 쓰지 못했소.
순우선생이 두 번째로 과인을 만나러 왔을 때는
마침 초청한 가수가 노래하고 있어서 그 노래를 듣느라
순우선생의 접대를 홀시 하였소. 그러니 내 잘못이 크오.”

 

오래지 않아 혜왕은 다시 한 번 순우곤을 접견했습니다.
이번에는 두 사람만의 공간에서 서로의 마음을 열어 보이며
연속 삼일 밤낮을 같이 지내며 이야기를 나누었어도
대화는 끝이 나지 않았습니다.
이 일화에서 "삼일밤낮을 말해도 끝이 없다."는 속담이 생겼습니다.

 

상대에게 석연치 않은 기분이 들 때
먼저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 본다면
세상은 좀더 아름다워지지 않을까요?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에서 보내드렸습니다.

 

 

 

 

 

 

 

 

오늘 희망레터를 함께 읽고 싶은 소중한 분들에게 많이 전달해주세요.
추천(구독)하신 분들에게는 희망지성 국제방송 에서 직접 희망레터를 보내드립니다.
페이스북,트위터 에서 공유 하실분은 독후감 한마디 또는 지난호 보기 를 클릭하세요.
희망레터는 희망지성 국제방송 가족들의 십시일반 후원금으로 운영됩니다.
검색 입력박스
검색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