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응보

희망지성  |   2013-08-19 09:37:26

선악의 응보

청나라 때 북방의 중개상인인 장씨가
남방에 빚을 받으러 갔다가
그만 받은 은전을 다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장씨가 상심하여 길바닥에 주저앉아 있는데
한 노인이 다가왔습니다.

 

"어인 일로 이런 길바닥에 주저 앉아 있는 거요?"
"노인장! 저는 너무 억울합니다.
저는 북방에서 빚을 받으러 이렇게 먼 남방까지 왔는데
단속을 잘못한 내 탓으로 그만 받은 돈을
모두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나의 불찰이니 누구를 탓할 수도 없고
돌아갈 차비도 없어 이러고 있습니다."
"얘기를 듣고보니 사정이 딱하구려.
우리 집으로 가 차라도 마시면서
대책을 세워봅시다."

 

장씨를 자신의 집까지 데려간 노인은
"자, 이것이 당신의 것이 맞는지 보시오."
라며 장씨의 돈 보따리를 되찾아주었습니다.
장씨는 감사를 표하며 은전의 절반을 꺼내
사례로 주었지만, 노인은
"내가 재물에 욕심이 났다면 당신을
데려오지 않았을 거요."라며 거절했습니다.

 

감격에 가득 차 귀로에 오른 장씨가
막 강변에 도착했을 때
갑자기 큰바람이 불어 한 배 가득 탄 승객들이
물에 빠지는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이때 장씨는 되찾은 은전을 뱃사공에게 보이며
이것을 다 줄 테니 어서 사람들을 구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구해낸 사람 중에는
그 노인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옛사람은 "화복(禍福)엔 문이 없는데
사람 스스로 자초한다.
선악의 응보는 그림자처럼 따라다닌다."라고 했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에서 보내드렸습니다.

 

 

 

 

 

 

 

오늘 희망레터를 함께 읽고 싶은 소중한 분들에게 많이 전달해주세요.
추천(구독)하신 분들에게는 희망지성 국제방송 에서 직접 희망레터를 보내드립니다.
페이스북,트위터 에서 공유 하실분은 독후감 한마디 또는 지난호 보기 를 클릭하세요.
희망레터는 희망지성 국제방송 가족들의 십시일반 후원금으로 운영됩니다.
검색 입력박스
검색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