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봉은 동한(東漢)말부터 삼국시대까지 오(吳)나라 지역에서 명성을 날리던 의사였습니다. 그는 의술이 고명(高明)할 뿐만 아니라 도(道)에도 밝았으며 고상한 의덕(義德)과 수양으로 유명했습니다. 당시 천하에는 동봉과 화타 ,상한론의 저자인 장중경이 건안시대 3대 신의로 불리며 이름을 날렸습니다.
동봉은 말년에 번잡한 세속을 피해 예장의 여산에 들어가 허허벌판에 집을 짓고 그곳에서 성심껏 환자를 돌보았습니다. 동봉은 경과에 따라 중병을 앓던 환자가 치료되면 살구나무 다섯 그루를 가벼운 질병이 치료되면 살구나무 한 그루를 심게하므로서 치료비를 대신했습니다.
몇 년이 지나자, 그의 집은 몇 십만 구루의 울창한 살구나무 숲으로 둘러싸이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이 숲을 동선행림이라고 불렀습니다. 동봉은 행림에서 산새와 뭇 짐승들을 마음껏 놀게 하며 자신을 대신해 행림을 지키게 하였습니다.
살구가 잘 익을 때가 되자 동봉은 행림 속에 풀로 창고를 만들고는 사람들에게 말했습니다. “살구를 가져가고 싶은 사람은 내게 알릴 필요 없이 같은 양의 곡식을 창고에 넣고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되자 간혹 욕심을 부려 곡식을 조금만 넣고 살구를 많이 가져가려는 사람이 생겼습니다. 그럴 때면 어김없이 어디선가 들려오는 호랑이의 포효에 욕심 많은 사람은 놀라 허둥지둥 도망가느라 살구를 여기 저기 흘렸습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남은 살구를 달아보면 정확히 자신이 창고에 넣은 식량과 같은 양이었다고 합니다. 동봉은 인간 세상에서 3백년을 넘게 살다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는데, 승천할 때 그의 용모는 삼십 대의 젊은이와 같았다고 합니다.
이 고사는 진(晉)나라 때 갈홍(葛洪)이 지은 《신선전(神仙傳)》에 실려 있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에서 보내드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