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휴일궤(功虧一簣)라는 성어가 있습니다. 흙을 돋우어 산을 만들 때, 높이 쌓은 공이 한 삼태기의 흙 때문에 이지러뜨려질 수 있다는 말이지요. 잠깐의 사소한 방심으로 해서 다된 일이 실패로 돌아감을 말합니다.
무왕(武王)이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의 위세가 사방에 떨치자 변방의 많은 나라들이 공물을 헌상했는데 그 중 키가 4척에 사람의 뜻을 잘 알아듣는 오(獒)라는 개의 선물을 받고 무왕은 몹시 기뻐하였습니다. 그것을 본 아우 소공석이 ‘사람을 희롱하면 덕을 잃고, 물건을 희롱하면 뜻을 잃는다’ 면서 사소한 것에 마음을 빼앗겨 정치를 소홀히 해서는 안됨을 간하였습니다.
‘아, 밤낮으로 덕에 뜻을 두지 않을손가 작은 일이라도 삼가지 않는다면 끝내 대덕(大德)을 이루지 못하리니 산을 만드는데 구인(九仞)의 공을 한 삼태기의 흙으로 이지러뜨린다’고 경계하였습니다. 주 왕조 창업의 위대한 공적도 단지 한 마리의 개에게 마음을 빼앗겨 잠깐이라도 방심한다면 그르칠 수 있음을 일깨운 것이지요,
공자께서도 “비유하자면 산을 만듦에, 마지막 흙 한 삼태기를 못 이루고서 중지하는 것도 내 자신이 중지하는 것과 같으며 평지에 흙 한 삼태기를 처음 붓는 것이라 하더라도 나아감은 내 자신이 나아가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란 속담이 있습니다. 차근차근 시작해야 함을 강조한 말입니다. 또, 공휴일궤(功虧一簣)라는 말은 마지막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을 말합니다. 천리 길의 시작은 처음 한 걸음부터이지만, 그 길의 완성 또한 마지막 한 걸음인 셈이지요.
SOH희망지성 국제방송에서 보내 드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