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자치회... 중공 비판한 교수, ‘표현의 자유’ 억압
디지털뉴스팀 |
2025-06-26 14:31:05
[SOH] 서울대학교 사회대 대학원 자치회가 한 교수의 중국공산당 비판 발언을 ‘혐오 표현’으로 규정하고 인권위원회 소집을 요청한 가운데, 이에 반발한 트루스포럼(Truth Forum·서울대학교 연구·활동 단체)이 강경한 입장을 밝히며 대자보를 게시했다.
‘프리진 뉴스’ 등에 따르면 트루스포럼은 17일 교내에 게시한 대자보에서 “중국공산당에 대한 비판은 혐오가 아니라 인간의 양심”이라고 강조하며, 자치회의 조치가 “표현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하는 전체주의적 사상 검열”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대자보는 현재 중국공산당이 전 세계적으로 은밀한 침투를 벌이고 있으며, 서울대도 그 예외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트루스포럼은 “서울대 내 시진핑 자료실, 중국 대사관과 연결된 유학생 조직, 일부 한국 기업의 유착 관계” 등을 예로 들며 이러한 침투를 실질적인 위협으로 지적했다.
특히 자치회가 특정 교수의 발언을 ‘혐오’로 규정하고 인권위원회 소집을 요청한 것은 “민주주의를 빙자한 독재”라고 규정하면서, “이제 서울대는 더 이상 마르크스와 중공의 놀이터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리는 대한민국을 사랑하며 자유를 추구하는 중국인들과 연대할 것이며, 중공의 전체주의에는 단호히 맞서겠다”고 밝히며, 시진핑 자료실의 즉각적인 폐쇄를 촉구했다.
이번 논란은 표현의 자유와 인권의 경계, 학내 정치의 중립성, 그리고 국제 정세와 교육기관의 역할에 대해 한국 사회에 깊은 논의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 홍위병의 인민재판?
이번 문제에 대해 ‘뉴데일리’도 ‘사실상 홍위병 문화혁명에 가까운 작태’라며 “서울대가 위험하다. 친중·종중 세력의 침투·행패가 심상치 않다”고 지적했다. 교수가 강의에서 중국을 비판했다고 학부생도 아니고 대학원생들이 인권위원회 소집을 요구하고 나섰다는 것이다.
‘서울대 사회대 대학원 자치회’란 명칭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했다. ‘학생회’라면 이해가 가지만 ‘자치회’라면 서울대 사회대 대학원이 그들 통치 대상이라는 뜻이라면서 “언제부터 서울대가 자치구-해방구-소비에트가 되었다는 건가? 교수와 직원들이 그들의 통치 대상이란 말인가?”라고 꼬집었다.
교수의 강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반론을 대학신문이나 학생회보에 실어 건전한 토론을 하면 된다.
매체는 “학문적 관점 차이가 왜 인권문제로 바뀌는가?”라며 “인권위원회에 해당 교수를 불러내 조리돌림 하겠다는 것 아닌가? 인권위원회가 아니라 ‘인민위원회’로 보인다”며 소련 소비에트와 중공 홍위병의 인민재판을 떠올리기도 했다.
다음은 서울대학교 트루스포럼의 대자보 전문이다.
- 사회대 자치회, 중국공산당 비판을 혐오로 둔갑시키는 게 인권인가?
최근 서울대학교 사회대 대학원 자치회가 강연 중에 있었던 A 교수의 중국 비판 발언을 "혐오 표현"이라 규정하고, 학과 차원의 인권위원회 소집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는 학문의 자유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다. 나아가 지금은 중국의 은밀한 침투가 대한민국은 물론 전 세계를 향해 전방위로 진행되고 있다. 이를 외면한 자치회의 행태는 명백히 망국적이고 매국적인 도전이며, 우리는 이에 대해 단호히 경고한다.
극단적인 통제사회로 치닫고 있는 중국공산당의 전체주의와 시진핑 독재의 문제점은 국제적으로도 중요하게 지적되고 있는 사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치회는 이를 지적한 A교수의 발언을 “혐중”으로 몰아세우며,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
- '자치'와 '인권'이라는 가면
"자치회"와 "인권"이라는 단어가 주는 민주적 환상은, 사실상 전체주의적 프레임을 정당화하기 위한 언어의 위장일 뿐이다. 소비에트(Soviet) 역시 "자치"를 표방한 전체주의의 기구였다. 이번 자치회의 행태는 민주주의의 언어를 가장한 사상 통제의 전형이다.
우리는 시장을 열었다. 그리고 자유무역을 통해 자유사상이 중국에 전파되길 바랐다. 하지만, 마오이즘과 중화사상에 기반한 중국공산당의 전체주의는 자유를 밀어내고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것이 지난 30년의 교훈이다. 프랑켄슈타인이 되어버린 중국을 직시하지 못한다면, 자치와 인권은 망상일 뿐이다.
서울대엔 다양한 중국인들이 존재한다. 중공의 간부도 있고, 자녀들도 있다. 대한민국의 발전을 진지하게 본받아 새로운 중국을 꿈꾸는 이들도 있고, 중국공산당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양심적인 지식인들도 있다. 트루스포럼은 대한민국을 존중하며 자유로운 중국을 지향하는 중국인들과 함께할 것이다.
서울대가 더 이상 마르크스와 중공의 놀이터가 되어서는 안 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진실을 말하는 용기이며, 그 용기를 억압하는 자들에 대한 단호한 경고다.
- 자치와 인권을 빙자한 독재를 중단하라!
인권위원회가 개최될 예정이라고 한다. '인권'을 빙자해 중국을 비판한 A 교수의 입을 막는다면, 인권위원회는 인민위원회임을 자인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권을 빙자한 독재다.
중국공산당의 체계적인 통제와 감시, 인권침해, 정치범을 이용한 장기적출과 밀매, 시진핑 독재, 세계적 팬데믹을 유발한 코로나19 인공바이러스, 전 세계를 향한 중공의 은밀한 침투에는 비겁하게 침묵하면서, 중국의 참혹한 실태를 비판한 A 교수의 발언을 문제 삼아 혐중 운운하는 것은 지성의 탈을 쓴 사기이고, 적극적인 매국이다.
중국공산당은 통일전선전술을 통해 대한민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은밀히 침투하고 있다. 서울대 안에도 중국대사관과 연결된 중국인 유학생 조직이 존재하며, 시진핑 자료실 운영은 그러한 침투의 상징적 결과다. 일부 한국 기업인들은 중국공산당 간부의 자제들을 서울대에 입학시키는 것을 일종의 뇌물로 활용하기도 했다. ‘자치회’는 이러한 현실에 대해서는 비굴하게 침묵하면서, 중국의 실상을 폭로한 내부의 목소리를 탄압하는 것이다.
- 친구로 위장한 전체주의, 중공은 우리의 적이다
중국인들은 우리의 친구가 되었다. 하지만 중국인들을 기만하고 착취하며 자유를 억압하는 현재 시진핑의 중공이 마냥 우리의 친구일 수만은 없다. 한미동맹의 기틀을 무너뜨리고, 동북공정을 통해 대한민국을 중화민족에 복속시키려는 지금의 중국공산당은, 분명 우리의 적이다.
중국공산당 비판은 혐오가 아닌 인간의 양심이다. 자치회와 인권을 빙자한 전체주의적 사상검열, 지금 당장 중단하라!
아울러 독재로 고통받는 친애하는 중국인들과,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시진핑 자료실의 폐쇄를 강력히 촉구한다!
2025.06.17
서울대 트루스포럼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