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티베트 망명정부' 지원 재개... “티베트 존엄·인권 지지”

디지털뉴스팀  |   2025-07-11 15:57:05


▲ [사진=SOH 자료실]

[SOH]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 이후 국익 우선 기조의 정책 방향에 따라 해외 원조를 대폭 축소했지만 티베트 망명정부에 대한 지원을 재개했다.

8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는 인도 히말라야 고원지역에서 망명 중인 티베트인을 위한 지원금 680만 달러(약 93억원)를 복원했다.

티베트 망명정부 수반인 펜파 체링 총리는 지난 6일 티베트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90세 생일 기념식에서 티베트인들이 미국의 해외 원조 삭감의 부수적 피해자가 됐다가 최근 지원금이 복원됐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 국무부는 로이터에 “남아시아 내 티베트인들을 위한 680만 달러 규모의 지원금을 복원했다”며 티베트 망명정부 수반의 발언을 확인했다.

미 국무부는 “미국은 수십 년간 초당적으로 티베트인의 존엄성과 인권을 지지해왔으며, 티베트인들이 고유의 종교, 문화, 언어적 정체성을 보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 지원금이 언제 복원됐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기 정부를 출범하면서 미국의 해외 원조를 대폭 삭감하고 이 업무를 담당해온 미국 국제개발처(USAID)를 공식 해체했다.

달라이 라마는 1959년 중국 강제 병합에 항의하며 봉기를 일으켰지만 실패했다. 이후 인도로 이동, 히말라야 산악 지역 다람살라에 망명정부를 세워 비폭력 독립운동을 이끌고 있다.

90세가 된 그는 최근 후계자 문제와 관련해 자신이 사망 후 14대 달라이 라마의 지명 권한은 자신이 설립한 비영리단체 '가덴 포드랑 재단'에 있다고 확인했다. 

중국 정부는 다음 달라이 라마 지명에 중앙정부 승인이 필요하다며 압박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중국이 달라이 라마 후계 문제에 간섭하지 말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12345
검색 입력박스
검색모듈